01. 종이와 결에 대하여 알아보자
모든 종이는 결을 갖습니다.
종이의 결에 맞춰서
종이를 접지, 재단 등 가공 작업을 하여야
접지부가 터지지 않고, 크게 들뜨지 않습니다.
페이지 넘김도 자연스럽습니다.
예컨대,
결을 맞추지 않고 반대결로 접는 것은
머리카락을 빗으로 빗을 때, 머리 위에서 아래로 빗는 게 아니라
아래에서부터 위로 빗는 것과 같습니다.
자연스럽지 않고 뻑뻑하겠죠.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1/large/021.gif)
종이를 제작할 때,
기계는 일정한 방향을 갖고 나무 섬유를 압착, 건조합니다.
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모든 종이는 고유의 결을 갖게 됩니다.
초지 공정 후 생산된 종이는
한 방향의 결을 갖는 롤 형태로 보관되고, 이후 필요한 사이즈로 재단이 됩니다.
여기서 재단을 가로로 할 것인지, 세로로 할 것인지에 따라
해당 종이의 결(횡목 또는 종목)이 최종 결정됩니다.
머리카락에 위, 아래의 세로결만 있다면,
종이에는 횡목 (가로결)과 종목(세로결)이 있습니다.
횡목(가로결) 종이는 가로결을 따라 가로로 접는 게 자연스럽고
종목(세로결) 종이는 세로결을 따라 세로로 접는 게 자연스럽습니다.
올바른 종이의 결을 어떻게 찾을까요?
첫 번째, 휘어보기
종이를 가로로/ 세로로 각각 둥글게 말아봅니다.
더 잘 굴려지는 쪽, 더 잘 접히는 쪽 방향이 종이의 결 방향입니다.
차이가 크지 않지만 집중해 보면 미세한 차이가 느껴집니다.
두 번째, 찢어보기
종이를 찢었을 때, 깔끔하게 일자로 찢어지는 방향이 올바른 결 방향입니다.
종이결이 아닌 방향으로 찢으면 일자로 곧게 찢어지지 않고 경로를 이탈합니다. 종이결이 맞으면, 아래 사진처럼 상대적으로 더 곧게 찢어지며 이탈 정도가 적습니다.
세 번째, 물에 적셔보고 우글우글 우는 방향 가로로 두기
가장 명확하게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.
종이의 세로 부분과 가로 부분 가장자리에 물을 살짝 묻혀봅니다.
종이가 울퉁불퉁해지는 종이가 우는 면이 있습니다.
이 울퉁불퉁한 쪽을 가로로 둔 상태에서, 세로 방향이 올바른 결 방향입니다.
네 번째, 종이 구매 시 종이 사이즈 표시 확인하기
모든 종이는 가로*세로로 표기합니다.
여기서
가로가 세로보다 크면 횡목(가로결),
가로 > 세로 = 횡목(가로결)
세로가 가로보다 크면 종목(세로결)입니다.
큰 대로 대세를 따라간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.
가로 < 세로 = 종목 (세로결)
예를 들어,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A4 용지의 사이즈 표기는
210x297mm로, 종목(세로결)의 종이로 만들어집니다.
따라서 A4용지를 반으로 접을 때,
종이결에 맞춰 접는다면 짧은 쪽 가로를 위에 두고 길게 접는 게 맞습니다.
※ 종이 앞뒤 구분하기
01. 종이의 앞면이 뒷면보다 매끄럽습니다.
매끈한 면이 앞면, 더 거친 부분이 뒷면입니다.- 손으로 만져보거나 조명을 수직으로 비추어 찾아볼 수 있습니다. 02. 종이 중간을 잡고 흔들었을 때 종이가 휘어지는 안쪽이 앞면입니다.03. 종이의 절단면을 손가락으로 만져보면 살짝 말아 올려지는 부분이 있습니다. 올려지는 쪽이 앞면입니다.